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취업준비 경험

[현차 제어 직무 분석] 현차 시스템 제어

반응형


시스템 제어를 지원하기 위해서 먼저, 제어 직무는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제어 직무는 크게 4가지로 구분됩니다.

1. 어떤 기능에 대한 사양 (Specification)을 정하는 것.

2. 정해진 사양에 대해 Application level에서 Application software (ASW) 를 코드로 구현하는 것. 

3. Application level의 코드가 잘 수행되도록 Basic Software (BSW)를 구현하는 것. [AUTOSAR 표준 플랫폼 준수]

4. 구현된 Software (ASW+BSW)에 대한 검증을 하는 것. 



각각의 일에 대한 설명...

1. 어떤 기능에 대한 사양 (Specification)을 정하는 것.

 - "어떤 기능"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필요한 기능을 "사양 (Spec)"으로서 정의하는 것입니다.

 - 예를 들면, 배터리는 낮은 외기온도에서 전력을 원하는 만큼 내주지 못합니다. 이에 대한 사양으로... "전기차를 영하 20C 이하에서 시동걸 경우, 시동 버튼이 눌렸을 때 배터리를 감싸는 열선의 온도를 xx도 이상의 상태로 만들고, 전기차의 시동이 20초 이내로 걸리지 않으면, 고장을 표시한다." (단순 예시입니다.)

 - 위와 같은 사양들을 "어떤 기능"에 대해 쭉 정의를 해야합니다. 이런 일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 시스템을 이해하여 논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이 직무는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분들에게 유리한 것 같습니다. (사견입니다)  기계공학은 열역학, 재료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자동제어 등... 각각의 시스템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공부하기 때문에... 

 - 평소 "어떤" 시스템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어떤"시스템의 원리는 무엇일지? 왜 시스템이 작동하는지? 그렇게 작동한 시스템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2. 정해진 사양에 대해 Application level에서 Application software (ASW) 를 코드로 구현하는 것. 

 - "어떤 기능"이 사양으로 (1)에서 정의되었다면, 이것을 코딩을 통해 구현하는 일이 (2)입니다.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구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 모델기반 설계(Model-based design) 후, 그것을 Code generation을 통해 코딩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인데요.

 - 모델기반 설계는 Simulink, stateflow와 같은 툴을 사용해서, Spec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래는 Simulink, stateflow 그림 예시 (구글에서 아무거나 줍줍.)

 - 모델기반 설계는 C언어와 다르게 하나하나 코딩하는 것이 아니라서, 직관적이어 좋은 것 같습니다.

 - 위와 같은 모델기반 설계를 해보고, 시뮬레이션 해봤다면 채용됨에 있어 유리할 겁니다.


3. Application level의 코드가 잘 수행되도록 Basic Software (BSW)를 구현하는 것. [AUTOSAR 표준 플랫폼 준수]

 - Basic software(BSW)의 역할은 ASW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om) 사이의 원활한 데이터 이동입니다. 추가로 CAN 통신도.. ㅎ

 - 예를 들면, 센서로부터 읽어진 아날로그 데이터가 Micom으로 전달되었을 때, Micom은 이 데이터를 특정 숫자 범위로 변경하여 ASW로 전달해주어야 할 때, 이러한 중간다리 역할을 해주는 것이 BSW 입니다. 

 - 예를 들면2, Micom에 핀들이 많이 꽂혀있고, 각각의 핀에 대한 역할을 할당해주는 것 또한 BSW 개발 단계에서 해줄 일들.

 - BSW는 AUTOSAR라는 규격을 따라야 할텐데.... 오토사에 대한 설명은 여기 아래 ^^

2019/02/09 - [개인공부/AUTOSAR] - 오토사(AUTOSAR)의 기초

 -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설정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코딩을 하는 것을... 임베디드 코딩이라고 하는데, 당연히 이런 일을 해본 분들께서 (3) 직무에 유리할 듯 합니다. 전자과에서 많이 하죠... 로봇동아리를 했던 친구들이나....

 

4. 구현된 Software (ASW+BSW)에 대한 검증을 하는 것.

 - 검증 이란 것은 해당 Software에 대해 다양한 경우를 만들어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고장을 제대로 표시하는지" 같은 것을 확인하는 일입니다. 

 - HILS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우를 만들어 테스트를 하고, 검증을 합니다. 

 - HILS라는 것을 이해하고 있는 분들이 유리할 겁니다. HILS는 무엇인지, 언제 사용하는지...


참고: 2019.01. 현차 연료전지시스템 제어, 신입공채 공고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