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 전세자금대출 받을 때 순서
2) 1금융권 은행에서 전세대출을 받을 때 필요 서류 목록
========================================
1) 전세대출 받을 때 순서:
a. 은행을 방문하여 대출 상담 - 내가 받을 수 있는 전세대출 금액은 얼마나 되는지 확인 - 필요 서류: 재직증명서, 현 근로하고 있는 곳에서의 근로소득 원천징수부. // 전세금으로 생각하는 예상 금액을 미리 정해야 함. (예) 예상전세금 2억원 --> 대출 가능 금액: 1.6억원
b. 전세로 살고 싶은 집 구하기 - 전세자금대출은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함! 등기부등본 보고 해당 집에 저당이 있는지 확인 필요. 이사할 집이 안전한지 아닌지 확인은? (융자+전세금) 합이 매매가의 80%이하라면 괜춘.. 단, 연립 or 다세대주택은 60~70%로 보자.
c. 대출 가능한 집인지 확인 필요
d. 집 계약 진행 - 확정일자를 받아야 함. !!!
e. 대출 - 계약과 대출이 진행되면, 대출금은 이사하기로 한 날!! 집주인 통장으로 지급됩니다!!
f. 이사
========================================
2) 1금융권 은행에서 전세대출 받을 때 필요한 서류 목록
a. 임대차 계약서 (확정일자 받아야 함) - 확정일자는 등기소에서 뗄 수 있다고 함.
b. 5% 이상 계약금 이체된 영수증!
c. 주민등록등본
d. 가족관계증명서
e. 재직증명서
f. 근로소득원천징수부
g.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h. 4대보험 가입 확인서
=========================================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받고 싶었는데, 안타깝게도 단독세대주가 아니고 연봉도 맞지않아서 일반 시중은행 전세자금 대출을 알아볼 수 밖에 없었다.
(전세가 2억원 일 경우에 대해)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에서 각각 전세자금 대출 가능 금액과 이율을 알아보았음.
두 은행 모두 1.6억원 대출이 가능했으며, 이율은 각각
국민은행: 3.37%
신한은행: 3.26%
위의 이율로 대출받으려면, 월급통장을 각 은행으로 들어야하고, 적금 월 30만? 들어야하고, 국민카드 or 신한카드로 3개월간 50만원 이상 사용하는 등 자잘한 조건들이 있다.
타은행에서 직장과 연계하여 신용대출 이율 2.9% 였던 상품이 있었는데, 신용대출을 받은 후 전세자금 대출을 받았을 때 이익을 계산해 봐야겠다.
전세자금대출 --> 연말정산에서 혜택.
신용대출 --> 전세자금대출보다 낮은 이율.
===========================================
전세자금대출과 신용대출 중 어떤 것을 먼저 받아야 하나?
- 신용대출을 먼저 받고 이후 전세자금 대출을 받을 것.
'재테크 > 임대사업자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임대사업자의 오피스텔 포괄양수도 매매 순서 및 QnA (0) | 2020.12.22 |
---|---|
재산세 - 위택스 회원가입 및 재산세 납부!! 했다. 따흐흡 ㅠㅠ (0) | 2019.07.12 |
아파트의 전용, 공급, 계약, 서비스 면적 (0) | 2019.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