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세금 부동산

청약, 전세 대출관련 사이트 정리

반응형


아파트 청약을 준비하고 싶은데, 어디서 뭘 봐야할지 몰라서 정리했습니다.

청약을 어디에서 넣을 수 있고 / 만약 당첨이 되었을 때 어디서 돈을 대출받을 수 있는지. 

이름이 다 비슷비슷해서 헷갈립니다.


명칭

특징, 성격

사이트

주택도시기금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 디딤돌대출

 -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http://nhuf.molit.go.kr

한국주택금융공사 (HF)

주택담보대출

 - 디딤돌대출

 - 보금자리론

 - 주택연금

 - 모기지론

 - 주택보증

https://www.hf.go.kr

주택도시보증공사 (HUG)

-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

- 주택구입자금 보증

http://www.khug.or.kr

한국토지주택공사 (LH)

 - 주택 및 토지의 청약정보 공개

http://www.lh.or.kr

서울주택도시공사 (SH)

 - 서울 내 주택 및 토지

https://www.i-sh.co.kr

경기도시공사 (Gico)

 - 경기도 내 주택 및 토지

http://www.gico.or.kr

 

1. 주택도시기금 ★★★★★

2. 한국주택금융공사 (HF)

3. 주택도시보증공사 (HUG)

4. 한국토지 주택 공사 (LH)

5. 서울주택 도시 공사 (SH)

6. 경기도시 공사 (Gico)


1. 주택도시기금 ★★★★★

목적: 무주택 서민, 사회초년생 등을 위한 건설사업 출자, 융자 지원, 도시재생사업, 임대주택 건설 금융지원 등

개인상품: 주택전세자금 대출 / 주택구입자금 대출 / 기타주택자금 대출 

재원: 국민주택채권, 청약저축, 대출이자, 복권기금 등 

아, 그동안 냈던 청약저축과 복권의 돈들이 주택도시기금으로 가는 거였군요.


주택전세자금 대출의 종류: 그나마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할지 좀 애매합니다..

대출명

대출 대상

대출

금리

한도

기간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대출

중소기업 or

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

1.2%

1억원

최초 2,

4회 연장 可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연소득 2천만원 이내,

34세 이하, 단독세대주

(보증금)

1.8%

(월세)

1.5%

(보증금)

0.35

(월세)

40만원

2,

4회 연장 可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

19세이상 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

2.3~2.7%

0.35

(임차보증금 80% )

최초 2

4회 연장 可

주거안정월세 대출

우대 취업준비생, 근로장려금 수급자, 사회초년생 등

일반형

2.5%

40

최초 2

4회 연장 可

신혼부부전용

전세자금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원 이하

1.2%~

수도권 2

(임차보증금 80% )

최초 2

4회 연장 可

버팀목 전세자금

19세 이상 세대주,

무주택자,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내

2.3~2.9%

(수도권)

1.2

2

4회 연장 可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à HUG로 연결.

 

 

 


연소득 5천만원... 좀 애매한데.. 넘는거 아닌가 모르겠네, 

일단, 버팀목 전세자금 관련 정리 시작.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출 대상: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수도권), 대출 신청일 당시 세대주. 2자녀 이상 있을 경우 보증금 4억(수도권).

전용면적 85 제곱미터 이하. 

대출금리: 국토부 고시금리 (변동금리)

 연소득 (부부합산)

임차보증금 

5천 이하

5천~1억

1억 초과

 ~ 2천만원

연 2.3%

연 2.4%

연 2.5%

 2~4천만원

연 2.5%

연 2.6%

연 2.7%

4~6천만원

연 2.7%

연 2.8%

연 2.9%


한도: 계약서상 전(월)세 임차보증금의 70% 이내, 수도권 최대 1.2억원

단, 1년 미만의 재직자의 경우 대출 한도가 2천만원 이하로 제한될 수 있음. 

대출 한도는 신청인의 소득, 부채, 신용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출 대상 주택: 2년 (4회 연장 가능) (단, 주택도시보증공사: 최대 2년 1개월 보장, 최장 10년 5개월 가능)

상환방식: 혼합상환방식. (대출 기간 중 원금 일부 (10~50%)를 나누어 갚고 잔여 원금을 만기에 일시 상환, 


대출 신청 시기: 

 - 신규: 잔금지급일과 주민등록등본상 전입일 중 빠른 날짜로부터 3개월 이내.

 - 추가대출: 전입일로부터 1년 이상, 기존 대출 실행일로부터 1년 이상 경과. 계약 갱신일로부터 3개월 이내

어 그러면...전세계약을 잔금까지 치르고 완료한 뒤.... 주택도시기금에서 대출받는 것인가? 그럼... 은행에서 먼저 대출받은 다음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할 수 밖에 없는 부분??????? .... 음. 아니지, 은행에서 창구가 되어,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받는 것..! 


고객부담비용: 인지세: 고객/ 은행 각각 50% 부담

보증료: 

 - case 1.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금 안심 대출 보증서

 - case 2.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신용보증서


이용절차(가장 중요)

1. 은행 방문 및 상담신청

2. 대출상담 및 대출금액 산정 - 대출 조건, 적격여부, 대출 가능 금액 산정

2.1. (전월세 계약진행)

3. 대출신청 및 서류 제출 - 준비물은 아래 따로 기입

4. 대출심사 및 승인

5. 대출금 수령


준비물:

 - 확정일자부 임대차 계약서

 - 임차보증금의 5% 이상 납입한 영수증

 - 주민등록등본 (최근 5개년 주소변동 이력 포함, 1개월 이내 발급분), 필요시 가족관계증명서 등

 - 대상 주택의 등기부등본

 - 소득확인서류 - 원천징수 영수증, 소득 금액 증명원, 등.

 단, 1년 미만의 근로소득자는 급여통장 사본 등 제출

 - 재직확인서류 -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사업자 등록 증명원

 - 기타요청서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