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세금 부동산

연말정산의 순서 / 1인가구는 연말정산에서 어떻게 해야 세금을 적게 낼 수 있을까?

반응형

연말정산은 왜 하죠?

궁금했었다.

- 나라에서 각자 사람들의 집안 사정에 따라 조세하고 싶은데, 매일매일 개인의 사정을 체크하고 각자의 세금을 다르게 부과할 수 없다.

- 혼자 사는 사람 vs 5명을 부양하는 사는 사람.. 둘의 세금이 같으면... 후자가 너모너모 힘드니깐.

- 1년에 한 번씩! 각자의 집안 사정과 경제활동 결과를 입력하여 한 번에 조사한다.

- 연말정산 결과를 추가징수!! or 환급!!


연말정산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연말정산은 1년동안 벌어들인 종합 소득 금액에서부터 시작한다.

종합 소득 금액은 어떤 소득들로 구성되는지는 아래 작성했다.

<종합 소득 금액의 구성 링크>




2) 종합 소득 금액 ㅡ 비과세 소득 = 총급여액

3) 총급여액 ㅡ 소득공제 = 과세표준

가능한 최대 소득공제액수는 ? 2,500 만원

소득공제란??

https://taste-and-investment.tistory.com/4




과세표준이란?

산출 세액을 구하기 위한 표준이다.



예1) 과세표준 금액이 4,600 만원인 경우 → 산출 세액: [72+(4,600-1,200)*0.15] = 582 만원

예2) 과세표준 금액이 5,000 만원인 경우 → 산출세액: [582+ (5,000-4,600)*0.24]= 678 만원


과세표준 관련 국세청 안내문 링크.

https://www.nts.go.kr/call/year_end/2014/htm2/ye0097.htm



4) 과세표준으로부터 도출된 산출 세액

5) 산출 세액세액공제 금액

6) 가산세 혹은 기존에 납부한 세금이 있다면, + or -

7) 연말정산 결과 액수 : 환급 or 반환



=======================================




반응형